강원 횡성에 가축 악취를 줄이는 시스템이 처음 도입된다. 횡성군은 축산 악취 개선을 지원하기 위해 지역 양돈농장 2곳에 악취 측정기를 설치하고 모니터링하는 관리 시스템을 구축한다고 최근 밝혔다. 지역에서 축산 악취 저감 시스템 구축은 이번이 처음으로 성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악취 저감 시스템은 냄새가 심한 돼지부터 적용한다. 횡성지역에서는 19개 양돈농장에서 모두 6만9216마리를 사육중이며 군 전체 가축분뇨 발생량의 25%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양돈농장 악취 문제가 다양한 민원 등을 유발시켜 해결을 위한 체계적인 대응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축산 악취 관리시스템은 축산환경관리원이 운영하는 관제 시스템을 통한 데이터 관리를 통해 30분 단위로 1일 48회 실시간으로 축산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한다. 실시간 제공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농장주는 악취 발생 요인 분석과 저감 활동을 하게 된다. 또 횡성군은 수집된 자료를 활용해 악취 민원 관리와 악취 저감 컨설팅도 실시한다. 이와 함께 장기적으로 측정된 결과를 자체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해 관련 정책에도 반영할 계획이다. 장신상 군수는 “한우 등 모든 축산 분야로 악취 관리를 확대해 청정 횡성을 실현해
일부 시군 수렵장 운영…겨울철 확산 방지 어려움 예상 “울타리 확장하고 소독 포획 강화하는 등 대책 마련” 겨울철 강원지역에서 ASF에 감염된 야생멧돼지가 잇따라 발견돼 방역에 비상이 걸렸다. 최근 급격하게 기온이 내려가 날이 추워지면서 멧돼지들이 먹이를 찾기 위해 활동반경을 넓혀 남하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특히 차단을 위해 설치한 광역 울타리 밖에서 발견된 멧돼지에서 최근 ASF에 감염된 것이 확인돼 확산 우려는 커지고 있다. 강원도 방역당국에 따르면 지난 11일 인제군 인제읍 덕산리에서 발견된 멧돼지 폐사체 1마리가 지난 13일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 멧돼지 폐사체는 방역대(10㎞) 내 농가는 없지만, 광역 울타리 밖에서 발견됐다. 앞서 지난 7일에는 춘천시 서면 금산리 야산에서 엽사가 수렵한 멧돼지가 광역 울타리 밖에서 포획돼 검사 결과 지난 9일 ASF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처럼 광역 울타리 밖 야생멧돼지에서 감염이 확인되자 방역당국은 설악산 이남 130㎞ 노선과 경기 포천과 가평에서 춘천까지 150㎞에 대한 울타리를 확장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또 강원도 내 일부 시군이 수렵장을 운영에 돌입했다. 하지만, 산세가 험준하고 수렵이 불가능
강원도는 전국 17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농림축산식품부가 실시한 ‘2020 가축방역 우수사례 특별 평가’에서 최우수상을 받았다고 지난 6일 밝혔다. 충남도와 제주도는 우수상을, 경남도와 전북도는 장려상을 각각 받았다. 이번 평가는 농림축산식품부에서 ASF·AI·구제역 방역을 위한 우수사례 발굴·공유 차원에서 이뤄졌다. 이를 통해 강원도만의 특화된 ASF 방역대책 추진에 대한 우수성이 입증됐다고 도는 밝혔다. 선정 우수 지자체에는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표창과 시상금 등 인센티브를 준다. 강원도 동물방역과 관계자는 “이번 수상에 만족하지 않고 가축 방역시스템을 보다 체계화하고 각종 시책 발굴을 추진하겠다”며 “ASF 등 악성 질병으로 어려움을 겪는 축산농가 경쟁력 강화에도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