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김해시는 악취관리지역으로 지정된 주촌면 신도시 일대 축사에 악취방지시설 설치를 지원하는 등 악취저감대책을 강력 추진한다고 지난 6일 밝혔다. 김해시는 그동안 주촌 신도시 일대를 악취관리지역으로 지정해 엄격한 배출허용기준 적용과 가축분뇨 원수처리 지원사업을 추진해 왔다. 축사 악취의 주원인은 저장조에 적체돼 있는 가축분뇨가 부패하면서 악취 유발물질이 발산하며 발생하는 것으로, 가축분뇨를 적기에 수거하면 해결할 수 있다. 김해시는 정체된 분뇨의 부패도를 낮추기 위해 올해 1억2000만원을 투입해 6개 농가에 순산소 순환시스템 설치를 지원해 저장조 내 산소 공급과 순환을 통해 부패성 환경을 원천적으로 차단키로 했다. 김해시는 또 지역 내에서 전량 처리가 어려운 가축분뇨의 타지역 처리로 발생하는 추가 처리비에 대해 3개 농가에 2600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해 적극적인 분뇨처리를 유도한다. 아울러 김해시는 4명의 악취감시원을 투입해 야간 취약시간대(오후 6시~새벽 3시) 악취 감시활동을 강화하고 엄격한 배출허용기준을 적용한 강력한 지도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민관상생협의체 회의를 통해 축산업 관계자와 시민, 시가 함께 악취개선 추진상황을 공유하고 악취저감 개선
전북 김제시가 악취와 수질오염원이 되고 있는 용지면 양돈밀집단지 축사와 토지 매입에 나선다고 지난 1일 밝혔다. 현재 용지 양돈밀집단지에는 농가 34곳이 7만7000마리의 돼지를 사육하고 있다. 김제시는 용지 양돈밀집단지가 인접한 전북혁신도시는 물론 인근 지역의 악취 진원으로 지목되고 있는 데다 ASF 등 가축전염병은 물론 새만금의 수질오염원이 되고 있어 매입을 점진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이는 그동안 민원 해소를 위해 악취방지시설을 설치했음에도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해 양돈부지와 축사를 매입해 원인을 제거하기로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미 확보한 국비 68억원으로 우선 폐업지원금을 지원하고 시비 64억원을 들여 축사와 토지를 매입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