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길애그리퓨리나에 따르면 현재 축산업계는 국제곡물가격, 해상운임, 환율, 그리고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으로 인해 곡물 수출 중단만이 아니라 파종면적의 감소, 가뭄 등의 피해로 유례없는 도전에 맞서고 있다. 뿐만 아니라 5월부터 때 이른 더위가 찾아오면서 올 여름 폭염에 대한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지금 같은 위기가 지속될수록 농장의 수익성은 생산성 및 효율성에 따라 차이가 더욱더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카길애그리퓨리나(대표이사 박용순)는 하절기를 맞아 고객 농장의 탁월한 생산성을 통해 그 기회가 증명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고자 한다고 지난 20일 밝혔다. ◆품질에 대한 일관된 원칙 흔들리지 않는다=매년 여름은 지난 겨울부터 이어진 PED와 소모성 질병의 후유증으로 출하일령 지연 뿐만 아니라 돈육 품질도 저하될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올해도 더위가 일찍 찾아오고 있어 지난해의 문제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는 좀 더 신속하고 확실한 대응이 필요하다. 카길애그리퓨리나는 하절기에 더욱 중요시되는 품질에 대해 분명하고 일관된 원칙을 지켜나가고자 한다. 올 여름은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는 시점이다. 카길애그리퓨리나는 고객농가의 여름나기에 전사적으로 힘을 보태고자
한국베링거인겔하임동물약품㈜(사장 서승원)은 지난 12일 혁신적인 혼합 플랫폼인 ‘트위스트팩’(TwistPak)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한국베링거인겔하임동물약품에 따르면 트위스트팩 출시로 양돈 농가에서 인겔백 써코플렉스(Ingelvac CircoFLEX)와 인겔백 마이코플렉스(Ingelvac MycoFLEX) 백신을 간편하고 빠르고 유연하게 혼합할 수 있게 됐다. 특히, 트위스트팩은 베링거인겔하임의 동물약품 사업이 운영되는 150개 국가 중 우리나라에 최초로 출시되며, 50ml와 100ml 용량이 공급된다. 트위스트팩은 베링거인겔하임이 DESIGNquadrat와 공동 개발한 특허 기술로 만들어졌다. 백신 용기 바닥에 독창적이고 위생적인 잠금 방식(인터록)을 적용해 간단히 비트는 동작으로 두 용기를 연결한다. 결합된 백신병은 흔히 사용하는 연속주사기 등 백신접종기기와 호환된다. 현재는 두 가지 백신을 혼합할 때 트랜스퍼 니들(transfer needle)이 필요하지만, 트위스트팩을 이용하면 혼합 과정을 단순화하면서도 농장 상황에 맞게 백신을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트위스트팩 디자인은 이 같은 장점을 인정받아 2021년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Red Dot Des
주지하다시피 2020년 1월부터 ‘축산법 시행령·규칙’ 시행에 따라 신규로 가축 사육업 허가를 받기 위해서는 임신 6주가 지난 돼지는 군사(무리 기르기) 공간에서 사육해야 하며, 기존 농가는 2029년 말까지 군사 시설로 전환해야 한다. 이에 국립축산과학원은 임신돼지 군사 시설을 준비하는 양돈농가가 참고할 수 있도록 사육 면적에 따른 임신돼지의 생산성과 복지 수준 분석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연구진은 임신돼지를 4개 사육면적(1.9㎡, 2.1㎡, 2.3㎡, 2.5㎡/마리당)으로 나눠 반 스톨(틀) 군사시설에서 사육하며, 새끼돼지 수(총 산자수), 새끼돼지 일일 몸무게 증가량(일일 증체량), 어미돼지 몸무게, 피부 상처 수 등을 확인했다. 그 결과, 생산성과 관련된 낳은 새끼돼지 수, 새끼돼지 일일 몸무게 증가량, 어미돼지 몸무게는 사육 면적에 따라 차이 없이 비슷했다. 서열경쟁으로 인한 피부 상처 수는 마리당 2.5㎡ 면적에서 기른 임신돼지가 1.9㎡ 면적에서 기른 임신돼지보다 29% 더 적었다. 피부 상처 수는 마리당 사육 면적이 넓을수록 적게 나타났으며, 군사 사육 기간이 길어질수록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돼지 육성기(10주령부터 26주령까지)
농림축산식품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폐기될 뻔한 수입 당밀 400t(톤)을 적극 행정을 통해 재활용하게 됐다고 지난 2일 밝혔다. 해당 물량은 당초 당도 함량 미달로 수입식품 통관검사에서 부적합하다고 판별됐다. 농식품부와 식약처는 그간 곡류와 두류에 한해 통관검사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아도 사료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지만 당밀처럼 식물성 원료를 가공한 식품은 용도 전환 허가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수입업계에서는 사료용 용도 전환이 가능한 수입식품 품목의 범위를 늘려달라는 건의가 이어졌다. 이에 농식품부와 식약처는 지난 3월 21일부터 적극행정 제도를 활용해 모든 식물성 원료와 이를 가공한 식품까지 용도를 전환할 수 있도록 했다. 당밀의 재활용 허가는 개선된 제도가 적용된 첫 사례다. 농식품부와 식약처는 이번 조치로 수입식품업계는 연평균 약 31억원의 손실을 줄이고 사료제조업계는 연평균 약 3477t의 사료 원료를 확보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아울러 사료용으로 용도가 전환된 수입 식품이 식용으로 다시 쓰이지 않도록 사후관리를 철저히 하고 관련 제도를 지속해서 정비할 방침이다.
충남 당진시는 지난달 27일 시청 해나루홀에서 축산악취 관련 민원 해결과 상생발전 모색을 위한 축산악취개선협의회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협의회는 최근 축산악취개선협의회 중간보고회 당시의 컨설팅 결과를 반영한 17개 농가별 개선계획서를 토대로 향후 중장기 계획 및 시설개선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당진시는 민선 6기부터 축산악취로 인한 주민과 축산농가간 갈등 및 환경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악취개선’을 주요 현안사업으로 선정, 지속 추진해 오고 있다. 이의 일환으로 지난해 12월 전문가와 시민, 축산단체와 행정으로 구성된 축산악취개선협의회를 전국 최초로 출범해 해결방안을 모색해왔다. 특히 전문적이고 실질적인 해결방안을 찾고자 지난 2월 축산환경관리원과 연계해 민원다발 및 주거 밀집지역 17개 축사에 대한 집중 컨설팅을 진행하는 등 농가별 악취발생 원인을 찾고 시설개선을 위한 계획 수립에 심혈을 기울였다. 한편 당진시는 이번 최종보고회 때 도출된 축산농가의 단기 및 중장기 개선계획서를 토대로 단계별 사업 진행을 독려하고 개선 의지가 높은 축산농가를 우선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4월 세계식량가격지수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던 전월보다 소폭 하락했지만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하면 70% 가까이 폭등세를 유지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 등의 영향으로 치솟은 곡물은 다소 하락했으나, 육류와 유제품은 오름세를 이었다. 지난 7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4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59.7포인트(p)) 대비 0.8% 하락한 158.5p를 기록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는 24개 품목에 대한 국제가격동향(95개)을 조사해 5개 품목군(곡물, 육류, 유제품 등)별 식량가격지수를 매월 작성·발표한다. 3월 식량가격지수는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달 소폭 하락하긴 했지만 전년 동월(122.1p) 대비 29.8% 상승한 수치다.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4월(93.6p)과 비교하면 무려 69.3%나 치솟은 상태다. 곡물 가격지수는 전월(170.1p)보다 0.4% 하락한 169.5p로 나타났다. 밀은 우크라이나의 수출항구 봉쇄가 계속되면서 가격 상승세가 유지됐다. 다만, 인도 등 수출 증가로 상승 폭은 제한됐다. 옥수수는 남미에서 수확이 진행되면서 가격이 하락했다. 쌀은 아시아 지역 수요 증가에 따라 가격이 상승했다. 육
지속 가능한 발전 원천은 기술력 ‘RE-NEW-ALL 2022’ 슬로건 새로운 모습 거듭나는 원년 선포 CJ Feed&Care(대표이사 김선강)는 지난달 21일 대전 KT인재개발원에서 ‘지속가능한 한국축산 사업 발전을 위한 CUBE 워크숍’을 개최했다. 최근 더욱 어려워진 국제곡물 시장상황으로 고객의 수익성 악화가 예상됨에 따라, 생산성 향상과 실효성 있는 생산원가 절감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CJ Feed&Care는 고객 농가가 처한 이러한 어려움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CUBE 워크숍을 진행하고, 지역부장들과 함께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워크숍은 CJ Feed&Care의 미래 혁신성장 추진전략인 B.W.S.D 소개로 시작됐다. B.W.S.D는 △바이오시큐리티(Bio Security: 질병예방·면역건강) △웰니스(Wellness: ONE Health·축산물안정성) △서스테이너빌러티(Sustainability: ESG·리사이클링)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DT: 빅데이터·스마트)의 영문 앞 글자를 딴 CJ Feed&Care의 4대 혁신성장엔진이다. 그리고 최근 새롭게 선보인 기술브랜드 CUBE에 대한 소개가 이어졌다. 양
지난해 WSY 2500 이상 66개 농장 성적 달성 수익성, 생산·효율성 따라 차이 더 벌어질 듯 카길애그리퓨리나(대표이사 박용순)는 지난달 27일 ‘제13회 퓨리나 WSY2500 위너스 클럽’을 진행했다. 이번 행사는 ‘농장 100년, 성공에서 위대함으로’라는 주제로 열렸다. 이날 참가자들은 지난해 WSY2500 이상의 성적을 달성한 66개 농장의 성과를 공유했다. 퓨리나사료에 따르면 지난해 최고 성적을 거둔 곳은 경북종돈(대표 이희득)으로 WSY가 3177(MSY27.9)을 나타냈다. 이외 △근호농장(대표 김종근) △용승농장(대표 손동열·손승한) △순천종돈장(대표 황금영) △미래축산(대표 신기선) △아정농장(대표 방원식·정영미) △활천농업회사법인(대표 이대호)이 WSY3000 이상의 놀라운 성적을 거뒀다. 이들의 성적은 국내 최상위권에 올라서 있으며, 양돈 선진국 농가들의 평균 생산성과 비교해도 뒤떨어지지 않는다. 퓨리나사료에 의하면 양돈업계는 국제곡물가격, 해상운임, 환율, 그리고 우크라이나-러시아의 전쟁으로 인해 현재 곡물 수출 중단만이 아니라 파종면적의 감소, 가뭄 등의 피해로 사료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각각의 요소들은 단기적으로
㈜팜스코가 환경경영시스템(ISO 14001)과 안전보건경영시스템(ISO 45001)을 신규 획득했다고 지난 6일 밝혔다. 팜스코에 따르면 환경경영시스템(ISO 14001)은 환경개선을 위해 목표를 설정해 얼마나 시스템적으로 관리하고 추진하는지를 평가하는 국제표준인증이다. 팜스코는 이번 인증 획득으로 지속적인 환경오염 저감 의지와 함께 경영활동에 있어 환경 및 산업안전 보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ESG경영이 세계적으로 대두됨에 따라 축산식품을 선도하는 기업으로써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는 것이다. 이로써 팜스코는 품질경영시스템 국제표준인 ‘ISO 9001’과 함께 ‘ISO 14001’, ‘ISO 45001’을 추가해 ISO 3대 주요인증을 취득했다. 특히 ‘ISO 45001’은 사료공장(중부, 서부, 동부, 제주), 신선식품의 생산/가공 공장에서 인증을 받았다. 더불어 팜스코바이오인티 이천농장 또한 시범적으로 인증받았으며, 추후 다른 농장들도 ISO 인증을 취득할 예정이다. 팜스코 관계자는 “ISO 14001, 45001 인증을 시작으로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경영을 통해 고객의 행복한 삶에 기여할 수 있는 파트너가
정부가 한돈자조금사업의 승인을 6개월째 보류해 올해 진행돼야 할 자조금사업이 반년째 표류 중이다. 이에 대한한돈협회(회장 손세희)는 지난달 28일 성명을 통해 “농가의 의견수렴 없이 일방적으로 추진중인 모돈이력제 도입을 반대한다는 이유로 이렇듯 생산자단체에 보복성 불이익으로 농가 굴복시키기에만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돈협회는 성명에서 “정부의 뜻을 거스른다고 생산자단체에 자조금사업 승인지연, 법적 근거없는 관리위원장·단체장 겸직금지를 골자로 하는 운영지침 개정 등 보복성 불이익 조치를 일삼는 농식품부 관료집단의 아집과 독선, 폭정을 당장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협회는 “지난해 11월 이미 대의원회 의결을 거쳐 2022년도 자조금 사업의 예산 승인을 정부에 요청했으나, 정부는 4월 말이 되도록 정당한 사유없이 미루고 있다. 한돈농가들이 자율적으로 운영하는 자조금의 승인을 반년 가까이 미루는 것은 한돈농가 길들이기를 위한 보복행정”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협회는 “더욱이 정부가 최근 개정중인 자조금예산운영지침(안)에는 자조금관리위원장과 생산자단체장의 겸직을 금지하겠다고 한다”면서 “현행법상 민주적으로 선출된 농가 대표의 겸직을 제한하는 어떠한 법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