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 순창군 (재)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이 악취 등 축사환경 개선에 효과적인 미생물 소재를 발굴하고 그 효능을 확인했다고 최근 밝혔다.
축산농가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가축분뇨의 퇴비화 및 액비화 과정에서 나오는 기체 상태의 물질로 인근에 불쾌감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이다. 관련된 국내 각 분야에서는 이를 해결하고자 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 처리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이 가운데 생물학적 방식은 물리·화학적 처리에 비해 설비비용이 낮고 생태적 안전성이 높아 최근 친환경 축산 관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맞춰 순창군은 생물학적 접근법을 통해 문제 해결에 나섰고 진흥원에서의 연구 결과 총 16종의 악취 저감 미생물이 발굴됐다.
특히 ‘SRCM 116907’ 균주는 실험실 수준에서 암모니아를 93.56% 감소시키는 탁월한 성능을 보였다.
실제 양돈 농가에 적용한 결과 복합악취가 33% 감소하는 놀라운 성과를 거뒀다.
세부적으로는 암모니아 83%, 황화수소 55%, 메틸메르캅탄 95%가 각각 감소해 해당 미생물이 축사 내 악취 저감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상황이다.
아울러 ‘SRCM 116907’ 균주는 커피박과 함께 발효했을 때 축분 악취 저감에 더욱 효과적이었으며 해당 연구는 2024년 국내 학술지에 발표돼 학계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
이에 따라 순창군과 진흥원은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2025년 순창군 맞춤형 축사환경 개선 미생물 소재 발굴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